Texture Editor
Unity Technologies
서론
Sketchfab 등 여러 곳에서 모델을 다운로드 하다 보면 텍스쳐나 메테리얼이 정리되거나 적용되지 않은 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. 이런 경우에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하고자 한다.
사용 모델 : Japanese Soldier
japan soldier - Download Free 3D model by Chernov-Egor - Sketchfab
Japan soldier WW2...
sketchfab.com
본문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처음으로 모델을 가져오면 마젠타 색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우선 캐드의 논리적 모순을 해결하고 진행해보도록 하자
Repair
CAD의 모순 해결하는 설정. 대표적으로 면이 뒤집어져 있는 경우를 해결할 수 있다. CAD - Repair CAD에서 설정할 수 있다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Repair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Repair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기본적으로 Orient 설정이 켜져 있어서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Repair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Repair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Scrtiping (메테리얼 삭제)
빈 메테리얼의 경우 굳이... 둘 필요가 없으니 간단한 스크립트로 삭제해준다. 여기서 선택 가능한 경우의 수는 2개인데 각 occurances에 있는 메테리얼이 텍스쳐와 관계없이 잘못 배정이 되어 있을 경우 -> 메테리얼을 아래와 같이 전체 삭제.
만약 Materials은 정상적으로 배정되어 있는데 텍스쳐가 없는 빈 메테리얼의 경우 -> 바로 텍스쳐 추가로 넘어가면 된다.
allScene = [scene.getRoot()]
scene.select(allScene)
scene.removeMaterials()
관련해서 상세한 내용은, Pixyz Python API에서 확인할 수 있다. 이번에는 씬 전체에 있는 occurances를 삭제해 주는 것임으로 간단하게 진행이 가능하다.
Pixyz API Reference
...
www.pixyz-software.com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Scrtiping (메테리얼 삭제)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Scrtiping (메테리얼 삭제)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34y4C/btsmZff7ONA/ScMeyn7U0MmuxSODKR6HOk/img.png)
하단 스크립팅에서 다음과 같이 작성하고 Ctrl + E 또는 실행 버튼을 클릭한다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Scrtiping (메테리얼 삭제)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Scrtiping (메테리얼 삭제)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ozK7/btsmRorGzk3/TVt3H6uWmYizoBqy2zdE3K/img.png)
더 이상 할당된 빈 메테리얼이 아닌 "No Material"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Texture Editor
Materials - Texture Editor에서 확인할 수 있다. 현재는 아래와 같이 어떠한 텍스쳐도 들어가있지 않고 각각의 오브젝트 안에는 텍스쳐가 비어있는 메테리얼이 있는 상황이다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kbKn/btsmUvjubTD/0lbVaj4c6Fbz9MRtNwkGfk/img.png)
Add를 눌러주고 텍스쳐를 추가한다. 다음과 같이 텍스쳐가 모두 import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ABTiI/btsmR9nsdPR/1TvJN2OPiKqjzWbYkThAi0/img.png)
이렇게 추가한 텍스쳐는 메테리얼 에디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g8hm7/btsmQfBYT9f/6jiwRU2OX5sA4Yto3NPN8k/img.png)
현재 모두 Standard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값을 모두 unlittexture로 변경해준다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XRG2m/btsmQPJ60Xc/iQGiTnNCkbOI0LqbdSEpuK/img.png)
현재 Images란에 보면 undefined로 되어 있는데 해당 값을 모두 수정 각각의 텍스쳐로 바꾸어 준다. 불행하게도 지금 사용하는 샘플 모델에는 각각의 material과 texture의 네이밍이 일치하지 않음으로... 맞을 때 까지 노가다를 해주도록 하자.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본문 - Texture Editor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ropr/btsmQPDkkVT/BThSOrUy5AINU8y70jlry1/img.gif)
결과
![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모든 영역 [Pixyz Studio] Texture &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- Texture Editor - 모든 영역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lTNE/btsmUuybqhy/gOoyZbJIzgx1h9lxSYNMLk/img.png)
라이팅이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... 결과적으로 완성이 되었다.
댓글